조선왕조실록 남북한 번역 차이는

"정영미 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현종실록' 번역 비교"는 조선 기록문화의 꽃으로 평가받는 '조선왕조실록'은 남북한이 모두 큰 관심을 보인 사료다.
조선왕조실록

 

조선 기록문화의 꽃으로 평가받는 ‘조선왕조실록’은 남북한이 모두 큰 관심을 보인 사료다.남한은 한국고전번역원의 전신인 민족문화추진회가 1971년 실록 번역에 착수해 1993년 완료했고, 북한은 소설가 홍명희의 아들인 홍석중이 ‘리조실록’ 번역을 총괄해 1980년대 작업을 끝냈다.

 

정영미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은 최근 발간된 학술지 ‘민족문화’에 게재된 논문 ‘남북한 조선왕조실록 번역 비교’에서 남한과 북한의 현종실록 번역문을 분석한 결과 한자와 한자어의 사용이 가장 큰 차이라고 밝혔다.

 

그는 남한에서는 실록을 번역할 때 일반 대중이 아닌 전문가를 겨냥했기 때문에 국한문 혼용을 원칙으로 하고 한자어도 빈번히 사용했지만, 북한은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한자 병기를 하지 않고 역사 어휘도 되도록 쉽게 풀어썼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남한이 “이번에 신방(新榜)을 분관(分館)할 때 괴원(槐院)의 관원들이 재차 회합을 가졌다”고 옮긴 문장을 북한은 “이번에 과거시험 합격자들을 견습 배치할 때에 승문원의 여러 관리가 두 차례나 모여 앉았다”고 번역했다.

 

또 문신 홍위의 죽음에 대한 부분을 남한은 “전 감사 홍위(洪위<초두머리 아래 威>)가 졸하였다. 홍위는 문명(文名)은 약간 있었으나 행정 능력은 없었다”고 해석했으나, 북한은 “전 감사 홍위가 죽었다. 위는 글은 잘한다는 이름이 좀 알려졌으나 실무능력은 전혀 없었다”고 했다.

 

단어별로 살펴보면 남한이 ‘선정신'(先正臣)이나 ‘정거'(停擧)를 그대로 쓴 데 반해 북한은 ‘어진 신하’나 ‘과거시험을 못하게 하다’라고 기술했다.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국가기록원 제공]

남북한 조선왕조실록 번역의 또 다른 차이는 주석의 유무다. 남한은 주석을 통해 어려운 어휘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하고 각종 정보를 제공했으나, 북한은 주석을 아예 달지 않았다.반면 한자 한 글자를 한글로 옮겼을 때 글자 수를 계산한 번역률은 남한이 3.51, 북한이 3.25로 큰 차이가 없었다. 오역의 발생 빈도도 비슷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남한의 번역은 직역에 가까워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고, 북한의 번역은 모든 어휘를 풀어쓰다 보니 원래 뜻과는 거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psh5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