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육아휴직 늘었다지만

아직도 먼나라 이야기
독박 육아 걱정에 출산을 망설이는 여성분들이 많다. 최근에 육아휴직을 쓰는 남성들이 늘면서 조금은 부담을 덜고 있는데. 대기업은 그나마 사정이 괜찮다지만 여전히 남성들이 쓰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세살배기 재희와 함께 하는 블록쌓기 놀이는 이제 일상이 됐습니다.

책을 읽어주기도 하고 오후에는 마트에 가서 함께 장도 봅니다.

1년의 육아휴직이 이번달로 끝난 고현전 씨는 어려움도 많았지만 아쉬움은 없었던 시간이었다고 합니다.

<고현전 / A대기업 남성육아휴직자> “육아휴직을 하면서 (아이랑) 친밀감을 쌓는 데 도움이 많이 됐고. 제가 육아를 하다보니깐 아내가 육아했을 때 느꼈던 고충을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아요. 사회가 아빠가 육아를 하고 육아휴직을 하는 것에 대한 공감대가 많이 올라왔으면 좋겠고…”

고씨같은 남성육아 휴직자는 해마다 늘어 지난해 처음 1만명을 넘었습니다.

하지만 비중을 보면 8명 중 1명꼴에 불과합니다.

그나마도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육아휴직률은 더 떨어집니다.

회사에 묶여 육아에 적극 나서지 못하는 남성이 여전히 많다는 겁니다.

이곳은 주방놀이부터 정글짐까지 아이들이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는 서울의 한 키즈카페입니다.

남성육아휴직자가 늘었다지만 아빠와 같이 온 아이를 찾긴 어려웠습니다.

조직 눈치를 보는 건 물론 경제적 부담도 만만치 않다는 게 육아휴직을 망설이는 이유였습니다.

<직장인 / 육아휴직 사용 희망자> “제가 육아휴직을 쓰게 되면 제 자리가 비게 되고 업무 차질이나 문제들이 조직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눈치를 보게 됩니다. (또) 현재 급여만큼 받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경제적 어려움이…”

육아를 남녀가 반반씩 부담하는 문화를 만드려면 먼저 육아휴직을 쓸 때 회사 눈치 볼 필요 없는 조직 구조를 만드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재훈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기업이) 가족친화적 경영을 해야만 그 직원이 오래 있고 그러다 보면 숙련이 되고 노동생산성이 높아져서 기업이 살아난단 말이에요. 기업이 그렇게 변하도록 비판도 없고 정부의 정책도 지원도 없는 거에요.”

정부는 올해 7월부터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할 때 두 번째 육아휴직자의 첫 3개월 휴직급여 상한액을 50만원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석 달동안 150만원을 더 받는 게 궁극적으로 출산율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지는 미지수입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시간 단축 정책이 모든 기업에 제대로 자리를 잡아야하고, 육아휴직 기간 확 줄어드는 급여 문제도 개선돼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