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ㆍ개인정보 빼고 다 개방

공공데이터 혁신
공공기관 홈페이지에서 검색을 해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게 쉽지 않은데 비공개 정보가 많기 때문이다. 정부가 앞으로는 개인정보를 뺀 모든 데이터를 개방하기로 했다.

 

우리나라의 공공데이터 개방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평가 순위 1위를 자랑합니다.

하지만 기업들은 정작 쓸만한 데이터가 적다고 호소합니다.

<국내 IT스타트업 관계자> “정보를 공개하는 범위가 너무 한정적이어서 민간 영역에 임팩트가…. 정제하는 데도 일단 시간이 엄청 오래 걸리고, 기회비용이 더 크다.”

실제로 정부 공공데이터 포털에 올라온 자료는 이달 기준 2만4천여건으로 5년 전보다 5배 가까이 늘었지만,

정부 재정이나 금융 거래, 의료 정보 같은 고부가가치 정보보다는 단순한 행정정보가 대부분입니다.

기관마다 데이터를 뽑아내는 기준이나 형식도 제각각입니다.

정부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데이터 혁신 전략을 내놨습니다.

690여개 공공기관 등의 데이터를 전수조사합니다.

국가안보나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전면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데이터 현황을 보여주는 ‘국가데이터맵’을 만들고, 실시간으로 관련 기관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1번가’ 운영도 활성화합니다.

<이낙연 / 국무총리> “공공데이터 공개의 확대와 표준화. 어디 한군데 들어가면 굳이 고생하지 않아도 원하는 통계를 얻을 수 있는 이런 시스템을 빨리 갖춰야…”

정부는 올해 먼저 인공지능과 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 등 신산업 분야 핵심 데이터를 개방하고,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물과 식품·생수 안전정보, 의료영상판독 데이터도 손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