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동을 계기로 정부의 관리 부실과 헛점 투성이 인증 제도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김종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살충제 성분이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은 52개 농장 중 31곳은 친환경 인증을 달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검증을 거친 농장에만 친환경 마크가 달리는 줄 알고 비싼 제품을 샀지만 오히려 낭패만 봤습니다.
< 정상희 / 호서대 임상병리학과 교수> “사용하는 약재가 있다면 기록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친환경 농장을 운영하면서 생기는 경비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보상이 있었는데, 정확하게 실천을 못한 거잖아요.”
살충제 계란 외에 문제를 일으킨 친환경제품 상당수가 농식품부 산하 농산물품질관리원 퇴직자들이 취업한 업체의 인증을 받았는데, 정부의 무관심 속 방치된 ‘농피아’가 먹거리 대란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입니다.
제품 인증부터 관리까지 허술하기 짝이 없었던 것입니다.
식품안전관리시스템도 먹통이었습니다.
살충제 계란 농가의 과반은 식약처 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 안전한 먹거리라며 ‘해썹’ 인증을 받았습니다.
살충제 검사가 해썹 인증에 포함된 것은 지난해 11월이지만 살충제 계란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식품안전시스템의 설계부터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계란 비펜트린 검사 기준을 만들어놓고도 검사를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살충제 성분 피프로닐은 측정 기준조차 없었습니다.
농식품부는 국제 기준을 준용하고 있지만 역시 조사한적 없습니다.
플루페녹수론, 피리다벤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농식품부는 친환경 인증과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에 메스를 대겠다 밝혔지만 거듭된 사후약방문식 대응에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
@연합뉴스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