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블라인드 멜로디

인도 이해에 도움을 주는 영화
인도 영화로 지난 8월 28일에 개봉하였으나 개봉관과 상영회수 제한으로 누적 관객 수는 2만여 명에 머물고 있다.

 

여주인공 타부

인도는 우리나라 6~70년대와 비슷한 수준의 영화 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이 영화의 감독 스리람 라그하반(Sriram Raghavan)은 2019년 16회 바르셀로나 빅 아시안 섬머 필름페스티벌 심사위원 상을 받았다. 또 제 23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월드 판타스틱 블루) 후보에도 올랐다.

우리는 불교와 석가모니를 통해 인도를 많이 안다고 생각한다. 인구는 세계 2위, 국토는 세계 7위, GDP는 세계 6위다. 하지만 1인당 국민소득은 2,016달러다. 그래서 모두가 못살고 민도(民度)가 낮을 거로 생각하는 것은 오해다. 잘사는 계급은 아주 부자다.

아유쉬만 커라나와 라디카 압테는 순수한 사랑을 한다

이는 카스트 제도의 계급사회 때문이다. 브라만 힌두교 성직자들(10%)과 20%의 크샤트리아 귀족과 무사(군인) 계급도 부자다.

30%의 바이샤(농민과 상인) 계급은 밥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을 정도다. 그러나 40%의 수드라(노예) 계급은 거지꼴로 산다. 그래도 그들은 내세에 가서 잘 살 거라는 믿음 때문에 삶을 즐기며 산다.

그러니 인도의 부자는 우리나라 총인구의 6배가 넘는다. 국방력도 막강하다. 종교도 힌두교도가 81% 회교도가 13% 그리스도교 3% 시크교 2% 불교는 1%다.

경찰간부가 범죄에 연루된다.

200년 동안 영국의 식민지였기에 인도의 공용어는 힌디어와 영어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영국과 직항로가 있을 정도로 왕래가 잦다. 미국에 진출한 사람들도 많아 선진 문물을 많이 받아들이고 있다.

이 영화에서 장님 행세를 하는 주인공이 겪는 시련 중에 경찰 간부가 범죄에 연루(連累)된다든지 장기 밀매조직에 끌려간다든지 하는 어두운 면의 사회상은 어느 나라에나 있을 법한 현상이다. 다만 범인들이나 피해자 모두 힌두교의 시바 신(神)을 절대적으로 신봉한다는 점에서는 인도인 특유의 신앙을 엿볼 수 있다.

가짜 장님 앞에서 시체가 든 가방을 옮기는 여주인공

인도의 힌두교는 다신교(多神敎)로 섬겨야 할 신들이 많다. 그중에서 창조의 신 브라마를 믿는 사람들은 석가모니와 같이 출가(出家)하여 참선을 통해 해탈에 도달하려 수도(修道) 생활을 한다.

그리고 존재 유지의 신 비슈누를 믿는 사람들은 비슈누 신의 가르침에 따라 바르게 생활하기만 하면 해탈에 이른다고 믿는다.

그러나 먹고 살기에 바쁜 사람들은 파괴와 죽음의 신 시바를 믿기만 하면 시바 신이 해탈에 이르도록 이끌어 준다고 믿는다. 그래서 떡과 고기와 술을 시바 신 앞에 바치고 수없이 절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