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속 강자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기념우표로 만난다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이 우표로 발행된다. 이는 단순한 기념이 아니라, 우리 해군력의 도약과 국방 기술의 자부심을 상징하는 의미가 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오는 20일부터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51만 장을 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기념우표에는 우리 기술로 설계·건조한 3,000t급 도산안창호급 잠수함(KSS-Ⅲ)의 형상이 담겼다.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은 기존의 외국 기술을 기반으로 건조한 잠수함들과 달리, 방위사업청, 해군, 국방과학연구소, […]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이 우표로 발행된다. (사진제공=우정사업본부)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이 우표로 발행된다. 이는 단순한 기념이 아니라, 우리 해군력의 도약과 국방 기술의 자부심을 상징하는 의미가 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오는 20일부터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51만 장을 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기념우표에는 우리 기술로 설계·건조한 3,000t급 도산안창호급 잠수함(KSS-Ⅲ)의 형상이 담겼다.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은 기존의 외국 기술을 기반으로 건조한 잠수함들과 달리, 방위사업청, 해군,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 여러 기관이 공동으로 개발한 첫 국산 3,000t급 잠수함이다. 특히, 핵심 장비를 국산화하면서 우리 해군의 기술적 독립을 이루는 데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이 잠수함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해 전략적 억제력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도산안창호급보다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 잠수함을 건조 중이며, 이를 통해 한국 해군의 잠수함 전력이 한층 더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잠수함 개발 역사는 1992년 독일과 협력해 건조한 장보고급(KSS-I)부터 시작됐다. 이를 통해 한반도 해역에서의 잠수함 운용 기반을 다진 뒤, 2011년에는 국내에서 개발한 잠수함을 인도네시아에 수출하면서 세계 5번째 잠수함 수출국이 됐다. 이후 손원일급(KSS-II)을 거쳐, 2021년 8월 한국이 독자 설계·건조한 도산안창호함이 실전 배치되면서 한국 해군의 독립적 잠수함 전력 구축이 현실화됐다.

국내 개발 잠수함은 단순한 무기 체계를 넘어 국가 해양 안보와 국방력을 강화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받는다. 특히, 해군의 전력 증강과 더불어 관련 기술 개발이 국방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은 “이번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는 대한민국의 해양 안보와 국방 기술 발전을 기념하는 중요한 기회”라며 “많은 국민이 이 우표를 통해 국가 안보와 해군의 자부심을 되새길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념우표는 전국 총괄우체국과 인터넷 우체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번 발행이 한국형 잠수함의 역사와 의미를 대중에게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