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국내 유통 제품 안전성 조사 강화…국표원 2025년 계획 발표

국내 제품 4700여개도 조사…KC미인증 등 불법제품 유통 단속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해 2025년 제품 안전성조사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는 해외직구 제품과 국내 유통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대폭 강화하며, 경찰·지자체와의 합동 단속과 리콜관리 체계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국표원은 지난해 조사한 450개 제품 대비 2배 이상인 약 1000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해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위해제품의 국내 유입을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해 2025년 제품 안전성조사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는 해외직구 제품과 국내 유통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대폭 강화하며, 경찰·지자체와의 합동 단속과 리콜관리 체계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국표원은 지난해 조사한 450개 제품 대비 2배 이상인 약 1000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해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위해제품의 국내 유입을 방지할 계획이다.

국내 유통 제품 조사 강화
화재 및 사고 위험이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4700여 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가 실시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기준을 점검할 예정이다.

KC미인증 불법제품의 유통을 막기 위해 경찰청,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합동 단속을 강화한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 업체 및 소비자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자발적인 제품안전 문화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리콜제품의 재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리콜사업자 점검을 강화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소비자 직접 통보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자체 및 교육청과 협력하여 리콜제품 관련 홍보 활동도 진행된다.

진종욱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제품 안전성조사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업계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