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는 우리의 희망, 30년내 군 84% 소멸

지방중소도시 생존위기
시골마을인 화천군의 21개 초중고, 원어민 교사가 없는 곳이 없다. 부족한 보육시설과 교육인력을 공공기관이 대신 책임지는 것이다.

 

초등학교에서 영어수업이 한창입니다.

발음도 수준급입니다.

<현장음> “저는 6시에 저녁밥을 먹어요”

이들은 가르치는 건 외국인 선생님입니다.

시골마을인 화천군의 21개 초중고, 원어민 교사가 없는 곳이 없습니다.

도서관에서는 책읽기 수업이 한창입니다.

학생들은 어린이집 원생들입니다.

부족한 보육시설과 교육인력을 공공기관이 대신 책임지는 겁니다.

<서송미 / 어린이집 학부모> “저도 집에만 있으면 답답하니까 아이 데리고 책도 읽고 친구도 만나게 해주고 (도서관이) 놀이터 겸인 것 같아요…”

고등학교 때까지 교육비 한푼 안드는 건 물론 지역출신은 대학교 등록금까지 군청이 대신 내줍니다.

없는 살림을 쪼개 교육에 집중투자한 건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접경지역인 화천군은 20대 군인가정이 많아도 학생 인구 감소가 심했습니다.

교육 여건이 부족해 아이를 낳을 때가 되면 다른 지역으로 떠나거나 아예 출산을 포기하는 가족이 많았는데 지금은 오히려 10대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최문순 / 화천군수> “길을 넓히거나 다리를 놓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사람을 키우는 게 더 중요하기 때문에 앞으로 20, 30년 후를 바라보면서 지역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는…”

인구감소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더 심각합니다.

한때 7만명을 넘던 화천군이나 전국 출산율 1위인 해남군 역시 저출산 여파를 피하지는 못했습니다.

30년 안에 82개 군지역 중 69곳, 무려 84%가 사라질 거란 분석이 나올 정도입니다.

생존과 소멸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김상민 / 지방행정연구원 선임연구원> “어떻게 대응전략을 세우는가가 지자체의 존립과도 직결된다고 볼 수 있거든요. 실제로 인구구조가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냉철하게 분석하고, 지역민들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면밀하게 분석하는 게 급선무라는 생각이 들고요”

중앙정부 차원의 저출산 대책은 아직 피부에 와닿는 성과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지역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가 특색에 맞게 자원과 예산을 선택과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