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이 끝나면 홀가분함도 잠시, 수험생의 스트레스는 더 커지기 쉽습니다.
그동안 쌓인 스트레스에 수능 가채점 결과로 스트레스가 더해지기 때문인데 문제는 이때 학부모의 꾸지람 한마디도 수용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수능 결과가 좋지 않으면 인생실패로 단정짓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수험생들이 이런 좌절감에 빠지지 않도록 하려면 부모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유숙 /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자녀가 어려움에 있을 때 도울 수 있다는 메시지를 주시는 것이 일단 도움이 됩니다. 학생들이 자세히 마음의 스트레스를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내가 언제든지 필요할 때 도와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주시고 또 그런 것을 반복해서 알려주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수험생들은 수능이라는 목표가 사라지면서 허탈감, 일종의 성취 우울증을 겪기 쉽습니다.
청소년기 심각한 스트레스는 잠을 많이 자거나 폭식, 게임ㆍ스마트폰에 몰두하는 경향으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성인 우울증과는 다른 양상입니다.
학부모가 이런 청소년기 특성을 알지 못하면 아이를 비난하게 되고 결국 갈등이 커질 수도 있어 세심한 관심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위로의 말을 건네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꺼낼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한 때입니다